
금융 시장의 복잡한 흐름 속에서 투자자들은 늘 선택의 기로에 서 있습니다. 특히, 펀드, ETF, ETN과 같은 다양한 투자 상품이 존재하는 오늘날, 어떤 선택이 가장 현명한지 고민하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두 상품 모두 지수와 연동된다는 점에서 비슷해 보이지만, 발행 주체, 만기, 신용위험 등의 측면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ETN이 ETF와 어떻게 다른지 깊이 있게 살펴 보겠습니다. ETN이란?ETN(ETN(Exchange Traded Note) 이란, 기초지수 변동과 수익률이 연동되도록 증권회사가 발행한 파생결합증권으로서 거래소에 상장되어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는 만기가 있는 증권입니다. ETN은 ETF와 달리 '만기'가 존재합니다. 이는 증권사가 만기까지 자산을 운용하고 기..

지난 포스팅에서 장기투자에서 꼭 알아야 할 원리인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차이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결론적으로 "장기 수익률을 위해 변동성을 낮추자!"가 핵심 내용이였습니다. 이는 단순한 수익률 계산을 넘어, 장기적인 투자 전략을 세우는 데 필수적인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장기 투자를 통해 목돈을 불리고자 한다면 단순히 산술평균 수익률에 의존하기보다 기하평균 수익률을 중심으로 투자 성과를 평가해야 합니다. 특히 변동성이 클수록 이 차이는 점점 더 커집니다. 따라서 변동성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이 장기 투자에서 성공하기 위한 필수 조건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좀 더 자세히 변동성과 기하평균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파트 1: 변동성과 기하평균의 관계변동성: 단순한 숫자가 아닌 투자 성..
미국 주식 시장 동향이번 주 대부분의 주요 주식 지수는 하락세를 보였으나,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소폭 상승하며 역사적인 20,000선을 돌파했습니다. 대형주가 소형주보다 상대적으로 견고한 모습을 보였으며, 러셀 2000 지수는 S&P 500 지수에 비해 두 번째 연속으로 저조한 성과를 기록했습니다. 테슬라(12.08%)와 구글 모회사 알파벳(8.44%)의 주가 상승 덕분에 성장주가 가치주를 세 번째 연속으로 앞질렀습니다. 특히 알파벳은 화요일과 수요일 사이에 2015년 이후 최대의 이틀간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Index 12월13일 종가 지수 이번주 변화 올해 상승폭 % DJIA43,828.06-814.4616.29%S&P 5006,051.09-39.1826.86%Nasdaq Compos..

국내에서 해외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할 때, 환율은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요소입니다. 환율은 단순히 금융시장의 흐름에 그치지 않고, 각국의 경제 상황, 정치적 변화, 그리고 글로벌 외교 이슈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해외 투자를 고려할 때는 환헤지와 환노출 중 어떤 전략을 선택할지 심사숙고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환헤지와 환노출의 개념을 깊이 있게 탐구하고, ETF 투자 시 유의해야 할 사항들을 살펴보겠습니다.급증하는 해외 투자 열풍2023년 말 기준으로, 개인투자자들의 해외주식 보관 잔액은 약 1,14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전체 민간 투자주체의 해외주식 투자 잔액의 약 41%를 차지하며, 2014년 말과 비교했을 때 무려 7배 이상 증가한 수치입니다. 특히 ..

재테크를 시작하는 이들에게 필수적인 금융상품 중 하나로 꼽히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는 '만능 통장'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습니다. 19세 이상이라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는 이 상품은 예·적금, 펀드, 주식, ETF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세제 혜택이 뛰어나 여유가 있다면 반드시 고려해야 할 상품입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2024년 8월 말 기준으로 ISA의 총 가입금액은 30조 2,722억 원에 이르렀으며, 가입자 수는 564만 6천 명에 달했습니다. 올해 들어서만 가입금액은 약 6조 8천억 원, 가입자 수는 약 71만 4천 명이 증가했습니다. 특히 투자 중개형 ISA는 2021년 2월 말 대비 가입금액이 4.7배, 가입자 수는 2.9배 늘어났습니다. ISA의 유형별로 살펴보면, ..

투자 세계에서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자신의 포트폴리오가 실제로 어떤 수익률을 내고 있는지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산술평균 수익률과 기하평균 수익률의 차이를 명확히 알고, 이를 투자 결정 과정에 녹여낼 수 있어야 장기적인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산술평균 수익률의 착시와 기하평균 수익률의 현실성대부분의 금융기관이나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펀드 수익률은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산술평균 수익률로 표시됩니다. 이는 수익률이 높아 보이는 착시를 일으킬 수 있으며, 많은 투자자들이 이를 예상 기대수익률로 착각하고 매수 결정을 내리곤 합니다.반면, 기하평균 수익률은 펀드와 포트폴리오의 성과를 보다 현실적으로 반영합니다. 이는 복리와 변동성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가 2..

현재 우리는 경제적 불확실성이 극대화된 시대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금융위기, 무역전쟁 그리고 코로나까지 정말 다양한 상황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또한, 1971년 닉슨 대통령이 금본위제를 중단하면서 시작된 달러 중심의 신용화폐 시스템은 전 세계적으로 GDP 대비 부채 비율을 사상 최고치로 끌어올렸습니다. 매년 10~20%씩 증가하는 총통화량은 지난 50년간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경제 환경을 만들어냈습니다.금융위기와 코로나로 시작된 불균형2008년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우리는 이전과는 다른 경제 환경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위기 이전에는 GDP 성장률과 통화량 증가율이 비슷하게 상승했지만, 이후에는 통화량 증가율이 GDP 성장률을 2~3% 앞서며 점진적인 불균형이 쌓여갔습니다. 코로나 위기로 인해 이러한 불..

ETF를 선택할 때, 우리는 종종 ‘합성’이라는 단어가 붙은 상품을 마주하게 됩니다. 이 합성 ETF는 일반적인 ETF와는 다른 독특한 운용 방식을 지니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합성 ETF는 증권사와의 스왑 계약을 통해 기초지수의 수익률을 제공받는 구조로 운영됩니다. 즉, 운용사가 아닌 증권사가 기초자산을 관리하고, 그에 따른 수익률을 운용사에게 전달하는 방식입니다.합성 ETF의 필요성그렇다면 왜 이러한 방식이 필요할까요? 일반적인 ETF는 기초지수의 수익률을 추적하기 위해 해당 지수에 포함된 종목들을 직접 매수합니다. 이는 가장 직관적이고 간단한 접근법으로, 실제 자산을 보유하여 ETF를 구성하는 방식을 ‘실물 복제’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만들어진 ETF는 ‘실물 ETF’로 알려져 있습니다. ..
- Total
- Today
- Yesterday
- 자동 리밸런싱
- 자산배분 전략
- etf 유입 유출
- 연금 자동매매
- 자동매매
- 스노우볼72
- 퇴직연금 투자
- ISA
- 연금 포트폴리오
- etf 투자전략
- 백테스트
- 연금저축 포트폴리오금
- spy
- 연금저축 포트폴리오
- 자산배분
- ETF
- 퇴직연금
- 연금저축 ETF
- 연금저축
- 투자원칙
- GLD
- 자산배분모델
- 연금관리 솔루션
- 연금투자솔루션
- 글로벌 주식시장
- SCHD
- 스노우볼
- VOO
- 투자기초
- ETF투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