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시장의 테마와 유행을 따라가는 투자가 왜 수익 내기 어려운지 설명해드릴게요.
많은 시장 전문가들이 유튜브나 미디어에서 자신의 성공 사례만 자랑하는 걸 보셨을 거예요. 하지만 이건 마케팅에 가깝죠. 실제로 이분들의 능력을 검증하기는 정말 어려워요. 테마나 유행에 투자해서 돈을 버는 게 왜 이렇게 어려울까요? 우리가 어떤 테마가 뜨고 있다는 걸 알아챘을 때는 이미 늦었을 때가 많아요. 주가가 많이 오른 후니까요. 처음에는 매력적으로 보이고 주가가 치솟으면서 짜릿한 느낌도 들지만, 영원히 오르지는 않아요.
역사적으로 봐도 이런 사례가 많았어요:
* 2000년대 초반에는 닷컴 버블로 기술주들이 폭락했고
* 2005~2007년에는 엄청 큰 상승을 했던 국내 조선/건설 주식들이 2008~09년에는 크게 떨어졌어요

* 2008년에는 유가가 배럴당 150달러까지 올랐을 때 대체 에너지 주식들이 인기였는데, 연말에 유가가 50달러 아래로 떨어지면서 관련 주식들도 폭락했죠
* 2012~2015년에는 중국의 고속 성장을 믿고 중국 관련 주식에 투자했다가 큰 손해를 본 투자자들이 많았어요
* 2023년엔 2차전지 주식들이 엄청난 인기였는데, 지금은 많은 종목들이 70% 이상 떨어졌어요

그럼 똑똑한 펀드매니저를 찾아서 투자하면 어떨까요? 이것도 쉽지 않아요. 테마와 유행을 계속해서 잘 맞추는 매니저를 찾는 건 정말 어려운 일이에요. 대부분 사람들은 과거 성과가 좋은 펀드를 고르죠. 특히 최근 1~2년 실적이 좋으면 앞으로도 잘할 거라 믿어요.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훨씬 많아요.

뱅가드 창업자 존보글
티브 펀드 업계에서는 성공만큼 실패로 이어지기 쉬운 것도 없다.
존 보글이라는 인덱스 펀드의 창시자가 재미있는 말을 했어요: "액티브 펀드 업계에서는 성공만큼 실패로 이어지기 쉬운 것도 없다." 그만큼 과거의 좋은 성과가 미래를 보장하지 않는다는 거죠.
그래서 금융상품 광고에 항상 "과거 성과가 미래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라는 문구가 따라다니는 것 같아요. 결국, 테마나 유행을 예측해서 투자하거나, 단순히 과거 성과만 보고 펀드나 주식 고르는 건 좋은 전략이 아니라는 걸 기억하시면 좋겠어요.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꾸준히 장기 복리 수익률을 내는게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투자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이별 투자 전략 총정리 - 20대부터 은퇴까지 최적의 자산 배분 방법 (0) | 2025.02.02 |
---|---|
투자 조언의 진실 - 워런 버핏이 말하는 일반 투자자의 최선의 선택 (0) | 2025.01.27 |
ETF 투자가 정답인 이유 - 개별주식 투자와 비교 분석 (1) | 2025.01.22 |
투자 자산 배분의 5단계 피라미드 -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포트폴리오 구성법 (0) | 2025.01.21 |
현명한 투자자가 되는 법 - 투자에서 꼭 알아야 할 진실 (0) | 2025.01.20 |
- Total
- Today
- Yesterday
- 글로벌 주식시장
- 투자기초
- VOO
- 연금저축 포트폴리오금
- 연금저축
- 연금저축 포트폴리오
- 자산배분
- 연금저축 ETF
- 자산배분모델
- GLD
- etf 유입 유출
- 연금관리 솔루션
- 투자원칙
- 퇴직연금 ETF
- 연금투자솔루션
- 자산배분 전략
- 스노우볼72
- 자동매매
- 백테스트
- etf 투자전략
- 퇴직연금
- SCHD
- ETF
- 자동 리밸런싱
- 스노우볼
- 연금 자동매매
- 퇴직연금 투자
- 연금 포트폴리오
- ISA
- ETF투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