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요즘 포트폴리오에 금을 보유하고 계신분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듯 합니다.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시장 상황에 대비하여 다양한 자산군에 투자하고 그 중에서도 상관관계가 낮은 금을 포함시키는것이 당연한 트렌드가 되고 있습니다. 4월30일에 World Gold Council에서 나온 올해 1분기 금(골드) 시장에 대한 리포트를  요약해 보았습니다.

골드 가격 추이

2025년 1분기 금(골드) 시장

최근 금값이 역대 최고치를 연달아 경신하면서 2025년 1분기 금 시장은 흥미로운 상황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총 금 수요는 1,206톤으로 전년보다 1% 증가했는데, 이는 2016년 이후 가장 높은 1분기 실적이랍니다.

 

 

금값 급등과 투자 열풍

LBMA 금 가격이 온스당 2,860달러로 치솟으면서 전년보다 무려 38%나 올랐습니다. 이렇게 가격이 급등한 배경에는 미국의 관세 정책 혼란, 지정학적 위기, 주식 시장 변동성, 미 달러화 약세 등 다양한 요인이 있었죠.

 

특히 눈에 띄는 건 투자 분야입니다. ETF 자금 유입이 폭발적으로 늘면서 총 투자 수요가 552톤으로 전년보다 170%나 증가했어요!

이는 2022년 1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죠. 북미, 유럽, 아시아 모든 지역에서 ETF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었고, 특히 중국과 인도의 성장세가 두드러졌습니다. 금 바와 코인 투자도 325톤으로 5년 평균보다 15% 높은 수준을 유지했어요. 중국이 이 부문을 이끌며 124톤을 기록했는데, 이는 중국 역사상 두 번째로 높은 분기 소매 투자량이에요. 인도에서도 7% 증가한 47톤을 기록하며 7분기 연속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ETF 자금 유입

주얼리 시장의 변화

주얼리 시장은 가격 급등의 영향을 고스란히 받았습니다. 전 세계 주얼리 수요량은 380톤으로 전년보다 21% 감소했지만, 흥미롭게도 가치로 따지면 오히려 9% 증가한 350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쥬얼리

 

중국에서는 주얼리 수요가 125톤으로 5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었고, 인도에서도 금 가격이 10g당 9만 루피를 넘어서면서 25% 감소한 71톤을 기록했어요. 소비자들은 더 가벼운 제품을 선호하거나 아예 구매를 미루는 모습을 보였죠.

 

미국과 유럽 시장도 비슷한 상황이었지만, 사우디아라비아는 축제 기간 중 강한 수요를 보이며 중동 지역의 전반적인 하락세를 일부 만회했습니다.

 

 

중앙은행과 산업 수요

중앙은행들은 1분기에 244톤의 금을 순매수하며 안정적인 수요를 유지했어요. 폴란드 중앙은행이 49톤으로 가장 많은 양을 매입했고, 중국인민은행은 13톤을 추가했죠. 경제적,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중앙은행들의 금에 대한 관심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중앙은행

산업의 금 수요는 80톤으로 전년과 비슷했어요. AI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전자 부문의 성장을 견인했지만, 전 세계적인 관세 불확실성이 앞으로의 전망을 복잡하게 만들고 있죠. 기록적인 금 가격에 대응해 일부 제조업체들은 비용 절감 방안을 찾고 있습니다.

 

공급 측면의 흥미로운 변화

공급은 전년보다 1% 증가한 1,206톤이었어요. 광산 생산량은 856톤으로 1분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죠. 칠레(+45%), 가나(+11%), 캐나다(+4%)에서 생산이 증가한 반면, 터키, 인도네시아, 멕시코에서는 감소했습니다.

공급 트렌드

 

재미있는 점은 금 재활용이 기록적인 가격에도 불구하고 1% 감소한 345톤을 기록했다는 거예요. 소비자들이 더 높은 가격을 기대하며 금을 보유하려는 경향을 보였고, 인도에서는 금을 팔기보다 새 주얼리와 교환하거나 대출 담보로 활용하는 경우가 늘었죠.

 

 분기별 수요와 공급

  Q1'24 Q2'24 Q3'24 Q4'24 Q1'25 QoQ % YoY %
Supply
Mine production 853.4 901 961.5 957.1 855.7 -11 0
Net producer hedging -8.8 -19.8 -6.8 -19.3 5 - -
Recycled gold 349.6 334.8 326.3 358.7 345.3 -4 -1
Total Supply 1,194.20 1,216.00 1,280.90 1,296.60 1,206.00 -7 1
 
Demand
Jewellery fabrication 538.5 411 542.3 520.4 434 -17 -19
Jewellery consumption 480.1 391.8 459 547.5 380.3 -31 -21
Jewellery inventory 58.4 19.1 83.3 -27.1 53.6 - -8
Technology 80.2 80.2 82.9 82.9 80.5 -3 0
Electronics 66 66.8 69.1 68.8 67 -3 2
Other Industrial 11.9 11.1 11.6 11.9 11.3 -5 -5
Dentistry 2.3 2.3 2.2 2.2 2.1 -2 -6
Investment 204.4 267.5 365.2 344.7 551.9 60 170
Total bar and coin 317.3 274.6 270.5 326 325.4 0 3
Bars 226.8 199.7 198.7 236.6 257.6 9 14
Official coins 66 49.6 32.1 53.5 45.2 -16 -32
Medals/Imitation coins 24.6 25.4 39.8 35.8 22.6 -37 -8
ETFs & similar products -113 -7.1 94.7 18.7 226.5 1,114 -
Central banks & other inst. 309.9 211.5 199.5 365.1 243.7 -33 -21
Gold demand 1,133.00 970.2 1,189.80 1,313.00 1,310.00 0 16
OTC and other 61.2 245.9 91.1 -16.5 -104 - -
Total Demand 1,194.20 1,216.00 1,280.90 1,296.60 1,206.00 -7 1
LBMA Gold Price (US$/oz) 2,069.80 2,338.20 2,474.30 2,663.40 2,859.60 7 38

 

앞으로의 전망

2025년 남은 기간 동안 금 시장은 어떻게 될까요?

1. 투자 수요는 계속 늘어날 것 같아요. 주식과 채권 간의 상관관계가 높아지고, 미국 재정적자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금은 매력적인 투자처로 계속 주목받을 수 있습니다.

 

2. 주얼리 수요는 아무래도 약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요. 높은 금 가격이 소비자 구매력에 영향을 주겠지만, 결혼식이나 축제 같은 특별한 경우엔 어느 정도 수요가 유지될 거예요.

 

3. 바와 금 코인 투자도 탄탄할 것으로 보여요. 가격에 민감한 부분이 있겠지만, 투자자들의 긍정적인 가격 전망이 지속적인 수요를 뒷받침할 거예요.

 

4. 중앙은행들은 무역 관련 리스크와 미국 자산에 대한 불확실성이 계속되는 가운데 지난 3년과 비슷한 수준의 매입을 이어갈 것으로 보여요.

 

결국 이번 1분기 보고서는 금이 불확실한 경제 환경에서 안전자산으로서 가치를 증명하고 있어요. 사상 최고 가격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의 관심이 계속되는 건, 금이 여전히 경제적 혼란기에 강력한 안전자산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