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T-bill(미국 단기 국채)과 금융시장

미국 금융시장에서 가장 낮은 위험을 가진 투자 상품으로 여겨지는 것은 미국 재무부 단기 국채(T-bill)입니다. T-bill은 미국 정부가 직접 보증하며 만기가 1년 이하인 단기 투자 상품입니다. 이 상품은 액면가보다 낮은 할인된 가격에 판매되는 특징이 있으며, 만기 전에는 별도의 이자를 지급하지 않습니다. 대신 투자자의 수익은 구매 가격과 만기 시 지급되는 액면가의 차이로 결정됩니다.

 

미국 재무부는 매주 정기적으로 T-bill을 발행하고 있으며, 이자율은 경매 방식을 통해 시장에서 결정됩니다. T-bill의 금리는 특히 머니마켓펀드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머니마켓펀드가 자주 T-bill을 매입하기 때문에, T-bill 금리는 머니마켓펀드에서 투자자가 얻을 수 있는 수익을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가 되고 있습니다.

 

'무위험 투자'라는 미신

금융계에서는 T-bill을 흔히 "위험 없는 투자(risk-free investment)"라고 부릅니다. 이는 상품의 만기가 짧고 미국 정부가 직접 보증하는 안정적인 수익 때문입니다. 하지만 "위험 없다"라는 표현은 실제 현실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T-bill이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 수익은 두 가지 중요한 요소에 의해 심각하게 잠식될 수 있습니다. 바로 세금과 인플레이션입니다.

 

실제 데이터를 살펴보면 이러한 현실이 더욱 분명해집니다. 연간 T-bill 수익에서 세금과 인플레이션율을 차감해보면, 많은 해에 걸쳐 T-bill의 실질 수익률이 인플레이션율을 따라잡지 못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수익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해에는 T-bill과 머니마켓펀드 투자자들의 실질적인 구매력이 감소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같은 금액으로 1년 전보다 더 적은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세금과 인플레이션의 이중 압박

T-bill 수익에 대한 세금의 영향은 상당히 큽니다. 2021년과 2022년의 구체적인 사례를 보면 이를 잘 알 수 있습니다. 당시 T-bill의 명목 수익률은 1.5~2.9%였으나, 세금을 적용하면 실제 세후 수익률은 1.1~2.2%로 크게 감소했습니다. 같은 해 인플레이션율이 6.5~7%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T-bill 투자자들은 실질적으로 약 5%의 구매력 손실을 겪은 셈입니다. 더 높은 소득세율이 적용되는 투자자들의 경우 이보다 더 큰 손실을 보았을 것입니다.

 

더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이러한 손실의 누적 효과는 더욱 충격적입니다. 1955년 이후 30일 만기 T-bill에 100달러를 지속적으로 재투자했다고 가정한 분석 결과를 보면, 세후 실질 가치의 변화가 매우 극적입니다. 1980년에는 초기 투자금 100달러의 가치가 75.26달러로 크게 감소했으며, 원금을 회복하는 데만 21년이라는 긴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2001년에 겨우 100.39달러로 회복했지만, 2009년 말에는 다시 93.40달러로 하락했습니다. 이는 지난 30년 동안 정부에 돈을 빌려주면서 오히려 투자자들이 손실을 보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연도
명목 수익률 (%)
세후 수익률 (%)
인플레이션율 (%)
세후 실질 수익률 (%)
2010
3.22
2.42
1.6
0.82
2011
2.78
2.09
3.2
-1.11
2012
1.8
1.35
2.1
-0.75
2013
2.35
1.76
1.5
0.26
2014
2.54
1.91
1.6
0.31
2015
2.14
1.61
0.1
1.51
2016
1.84
1.38
1.3
0.08
2017
2.33
1.75
2.1
-0.35
2018
2.91
2.18
1.9
0.28
2019
2.14
1.61
2.3
-0.69
2020
0.89
0.67
1.4
-0.73
2021
1.52
1.14
7
-5.86
2022
2.89
2.17
6.5
-4.33
2023
3.52
2.64
2.7
-0.06
2024
4.24
3.18
2.9
0.28

 

인플레이션 보호 상품의 한계

정부는 인플레이션의 위험으로부터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해 TIPS(Treasury Inflation Protected Securities)와 같은 특별한 투자 상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채권들은 원금과 이자가 인플레이션 상승에 따라 조정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채권의 만기 가치는 인플레이션율 증가에 비례하여 상승하며, 지급되는 이자 또한 인플레이션율에 따라 증가합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TIPS가 T-bill보다 더 정확한 무위험 금리를 나타낸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TIPS 역시 완벽하지 않습니다. TIPS는 공개 시장에서 거래되는 증권이기 때문에 금리 변동에 따른 가치 변동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또한 TIPS도 과세 대상이라는 점도 중요한 한계입니다. 지급받은 이자뿐만 아니라 인플레이션 조정으로 인한 이익까지도 과세됩니다.

 

결론: 완벽한 안전 투자는 없다

진정한 의미의 무위험 투자가 되려면 정부의 보증, 안정적인 가치 유지, 인플레이션으로 보호, 세금 면제 등 다양한 조건이 동시에 지켜져야 합니다. 하지만 현실에서 이런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투자 상품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결국 모든 투자에는 어떤 형태로든 위험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이해해야 합니다.

 

 

스노우볼에서 손쉽게 연금계좌를 관리해 보세요~!

스노우볼72 바로가기

 

스노우볼72 - 원칙을 투자로 연결하는

연금 투자 솔루션: 당신만을 위한 맞춤형 연금자산 관리 서비스(ISA, 연금저축, IRP, 퇴직연금). ETF 기반 포트폴리오 자동 리밸런싱으로 효율적인 연금투자를 경험하세요.

snowball72.com